본문 바로가기
Paper Reviews

[Paper] 논문 쉽게 검색 및 파악하기

by 홍월이_ 2024. 6. 15.

다시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첫번째 목표는 논문 리뷰를 꾸준히 블로깅 하는 것이다. 

꾸준히 논문들을 읽으면서 정리를 하고 리뷰를 해 볼 예정이다.

그 첫번째 기록으로 논문을 어떻게 검색하고, 논문의 내용을 어떻게 파악을 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.

 

그동안 논문을 조금씩이라도 계속 읽어오고 있었는데,

논문을 찾는 것도, 내용을 파악하는 것도 주먹구구식으로 해왔던 것 같아서 제대로 찾아보고자 하였다.

오늘 리뷰하는 내용은 유튜브 '김포닥 podockim' 님의 정리 영상을 참고하였다.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해당 영상을 보시길 추천한다. 내용이 길지 않고 잘 설명해주신다!


필요한 논문 쉽게 찾는 방법

기본적으로 논문의 종류에는 Research article, Review paper, Letter 형식의 paper 등이 있다.

논문의 종류

1. Research paper

  • 일반적인 논문 형식
  • 서론, 본론, 결론으로 나누어져 있음
  • 논문 내에 Introduction이나 Result, Conclusion 이 포함되어 있음

2. Review paper

  • 일반적으로 매우 긴 논문
  • 여러가지 논문을 하나의 논문으로 합친 논문
  •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거나 최신 논문들의 흐름을 파악할 때 용이
  • 참고 문헌이 100개 혹은 그 이상이 된다면 Review paper라고 생각하면 됨

3. Letter paper

  • Communication 형식이라고도 함
  • 보통 3 - 4장의 짧은 논문
  • 논문이 짧기 때문에 보충 자료로 내용 추가
  • 중요한 연구나 연구 결과를 빠르게 공개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는 논문들에서 사용
  • 'NATURE' 나 'SCIENCE' 같이 impact factor가 굉장히 높은 저널들에 게재되는 논문 형식

논문의 검색

1. 기본적인 논문의 검색 방법

  • 다양한 키워드를 조합해서 검색을 하게 됨. 5~6개 정도의 키워드를 가지고 검색을 하면 좋다.
  • 만약 검색을 할 키워드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, Review Paper를 찾아 볼 것
  • Review Paper를 훑어 보면서 키워드를 찾아내고, 5~6개 정도의 키워드가 된다면 논문 찾기를 시작하면 된다.

2. 좋은 키워드 찾는 방법

  •  출판사 확인
  • 출판사들은 유명한 저널들을 보유함
  • 가장 유명한 출판사들은? : Springer, Elsevier, Wiley
  • 위 출판사에서 나온 저널들은 어느정도 권위가 있다라고 평가가 가능
  • 해당 출판사의 논문들이 많이 나온다면 괜찮은 키워드라고 판단할 수 있음

3. 논문 선별 작업

  • 괜찮은 논문을 선택해서 특정 논문만 다운로드
  • Abstract에서 그 논문의 핵심이 되는 문장을 찾기
  • in this study, we present, purpose, however 등이 포함된 문장
  • 그림을 빠르게 훑어보기 - 그림으로 알고리즘이나 결과를 함축시킴

4. 최종 논문 선별

  • 진짜 나에게 필요한 논문인지 빠르게 파악하기
  • Full Paper 논문
    • Introduction의 가장 마지막 문단을 주의 깊게 읽기
    • 보통 introduction의 마지막 문단에는 이 논문이 어떠한 알고리즘으로 논문을 진행시키고, 어떤 결과를 나타내려고 하는지 자세히 나와있음
  • Review 형식 논문
    • 논문이 매우 길기때문에 다 읽을 생각은 하지 말 것
    • 목차를 중심으로 어떠한 다른 논문들을 소개하고 있는지 파악
    • 내가 필요한 부분만 보고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
  • Letter 형식 논문
    • 짧기 때문에 다 읽어도 상관은 없음
    • 내용을 빠르게 파악하고 싶다면 그림부터 보는 걸 추천
    • 그림 설명이나 그림이 인용되어 있는 문장을 집중적으로 볼 것
    • 내용을 좀 더 깊게 파악하고 싶다면 보충자료의 그림들도 파악하면 도움이 될 것

 

선별을 끝내고 남아있는 몇 개의 논문을 집중적으로 보면 된다.

이렇게 읽다보면 논문의 내용이 파악되고, 논문에서 인용하는 논문들을 추가로 찾아볼 수 있고, 논문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키워드를 통해 다시 검색을 해 볼 수 있다.

이런 과정들을 거치다보면 내가 찾고자 하는 주제에 맞는 논문들이 쌓이게 되고 연구나 과제를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.

 

 

2. 논문 내용 빠르게 파악하기

거의 모든 논문은 두괄식으로 이루어져있다. 그렇기 때문에 문단의 첫 문장을 중심으로 읽자

 

그리고 논문을 읽는 목적을 정하자. Abstract는 논문을 찾을 때 이미 읽었다고 가정한다.

  1. 연구 동향 파악
  2. 연구 알고리즘 파악
  3. 연구 결과 파악

1. 연구 동향 파악

  • 논문의 introduction을 집중적으로 보기
  •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에 대한 배경들을 언급한다.
  • 서론에는 이전 연구에 대한 참고 문헌이 몰려 있다.
  • 가장 먼저 문단의 첫 문장으로 문단의 내용 파악
  • 원하는 내용이 있는 문단만 집중

2. 연구 알고리즘 파악

  • 연구 알고리즘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통 본문을 보아야 한다.
  • 본문을 보기에 앞서 결론(Conclusion 또는 Result) 에서 키워드를 파악한 후 본론에서 필요한 부분을 찾아보자
  • 결론이 짧으면 빠르게 본론으로 넘어가면 된다.
  • 결론이 길면 첫 문단은 보통 전체적인 논문을 요약한다. 두 번째 문단을 집중해서 키워드를 찾아보자.

3. 연구 결과 파악

  • 논문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실험한 실험 결과를 보고 싶을 때
  • 바로 본론에서 실험 결과를 보자
  • 논문의 본론b) 실험 결과 부분
  • a) 알고리즘 부분
  • 논문에서는 실험 결과를 나타낼 때, 그래프나 그림을 활용하기 때문에 그래프와 그림을 위주로 내용을 빠르게 파악하는 것이 좋다.
  • 그래프나 그림을 설명하는 문단을 찾아서 집중적으로 읽어보기

논문 읽기의 핵심!은 필요한 부분만 찾아서 읽는 것.

논문에 익숙해지면 읽어가는 방향을 늘려가는 방향으로 학습하자.


위 방법이 모든 사람에게 맞는 방법은 아닐 수 있다.

논문을 체계적으로 읽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어떤 것이 맞는지는 잘 모르겠다.

논문을 많이 읽는 사람들의 방법론을 참고하여 따라가고,

나만의 논문 읽는 방법을 습득 해보는 것이 가장 큰 목표가 될 것이다. 

 

 

 

 

... 끝!

 

댓글